시사인에서 코로나19 종식에 관해서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축약함.
기사가 나온 시점은 5월경 확진자수 700명대 부근이었을 즈음임.
Q : 코로나 종식 되기는 함?
A : 아니오. 불가능함.
네이처지에 코로나 집단면역이 불가능한 이유5가지 라는 기사가 뜸.
1. 백신은 효과적이긴 하지만 무증상 감염까지 효과적으로 막는지는 통계적으로 확인되지 않음.
2. 백신접종이 불균등함. 이스라엘은 접종률이 60%에 달하지만 이스라엘과 국경선을 맞댄 나라는 1%도 안됨.
3. 변이가 일어나면 다시 대응해야함.
4. 항체 지속기간도 변수임.
5. '백신의 역설' 백신 맞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존나게 돌아다니면 집에서 가만히 있는 미접종자보다 더 퍼뜨릴 가능성이 높음.
코로나는 풍토병으로 고착화되어 영원히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가설을 대부분의 과학자가 지지함.
네이처에서 면역학자, 바이러스학자, 감염병 연구자 119명에게 '코로나는 박멸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하자 89%가 아니오라고 대답.
그러니까 당신이 생각하는 코로나 종식이 전 세계의 감염자가 영원히 0명인 세상이라면 아마도 오지 않을 것.
Q : 그럼 우리 좆망한거임?
A : 아님. 목표치를 다르게 설정해야한다.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긴급대응단장
"집단면역의 실패와 성공을 스위치를 켜고 끄는 것 처럼 생각하면 안된다. 2.5가 현재 확산 속도이고 1이하로 떨어져야 바이러스가 소멸된다고 친다면, 1.5보다는 1.4가, 1.4보다는 1.2가 훨씬 낫다. 합격 - 불합격의 이분법이 아니라 점수를 쌓아간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야한다."
"그래도 승기를 잡았다는 시점이 있다면, '의료 과부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시점이라고 본다. 암과 심장병으로도 많은 사람이 죽지만 중수본을 만들어서 대응하지는 않는다. 적극적인 개입 없이도 폭증할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코로나 확진자 수가 많다고 하더라도 예측대로 굴러만 간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지금의 700명은 불안한 700명이다. 언제 폭증할지 모른다.(실제로 그렇게 됐네 씨 발) 그러나 연말쯤 되어 백신 접종이 높아지면 그때도 700명이라고 할 지라도 지금보다는 편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
"코로나를 한국의 의료체계가 감당 가능한 질병으로 만드는게 목표다. 우리나라에서 독감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한해 3~5천명인데, 코로나19도 별도의 사회적 거리두기같은 조치 없이 백신 접종만으로도 한해 사망자가 3천명 정도라면 감당이 가능한 질병이라고 볼 수 있다."
김현철 홍콩 과학기술대학 경제학과 교수
"매해 매달 매일 계절성 독감에 걸린 사람의 숫자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일일이 세지 않는다. 단지 가을마다 열심히 예방접종을 해서 겨울철 유행으로 중환자와 사망자가 대량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막을 뿐이다. 코로나19도 결국 이렇게 될 것이고, 그래야 하며, 그럴 수밖에 없다."
Q : 그러면 코로나가 극복 가능하기는 함?
A : 예. 백신만 접종하면.
백신은 이미 ‘작동’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초와 4~5월의 과 지금의 확진자 수는 700명대로 비슷하지만(이 기사가 쓰여질 시점) 요양병원 등에서의 집단감염이 현저히 줄었다. 사망자 발생, 중환자실 부족, 입원 대기 환자 발생 같은 ‘의료 과부하’ 소식도 잘 들리지 않는다.
이미 어떤 곳에서는 ‘작은 집단면역’이 달성되었다는 증거다. 장영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요양병원처럼 외부 교류가 많지 않은 집단 시설에서 환자와 종사자들이 백신접종을 마치면 적어도 그 안에서는 코로나19가 (잠시나마) 종식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요약충을 위하여.
1. 코로나종식이 전세계 감염자 0명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종식은 안올 확률이 높음.
2. 우리는 코로나와 함께 영원히 함께 살아야하며, 목표는 코로나를 '감당 가능한 질병'으로 만드는 것임.
3. 종식은 속시원하게 펑 하고 오는 것이 아니라, 굉장히 점진적이고 천천히 생활이 변하는 식으로 나타날 것임.
결론
백신이 답이다.
댓글 작성 (0/1000)